본문 바로가기
미용

피부 관리 중 절대 하면 안 되는 것

by 후라후라 2022. 10. 24.
반응형

팩

 

이번 시간에는 피부 관리에 있어 절대 해서 안 되는 것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피부 관리에 있어 절대 하면 안 되는 것 그것은 무엇일까요?

 


때밀이 절대 하지 마세요

 

타올
때밀이의 상징 이태리 타올

 

절대해서 안 되는 것, 그것은 바로 때밀이인데요. 옛날에 어르신들은 목욕탕에 가면 때를 밀고 오시는 분들도 계시죠. 때밀이를 하시면 시원함과 매끈해져서 자주 하시죠. 그뿐만 아니라 자녀들까지도 시키시는데, 때밀이 그냥 아예 하지 마세요. 이는 전문가들도 하지 말라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때밀이는 피부 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 때밀이를 하면 안 되는 이유

 

먼저 각질에 대해 잠깐 나누어 보면, 각질은 세포가 성장하면서 바깥쪽에 죽은 세포를 각질, 일명 때라고 하죠. 각질이 쌓이면 피부가 두꺼워지고 거칠어지며, 주름이 생깁니다. 그리고 색소침착이 일어나는데요. 그래서 각질 제거를 통해 새로운 피부층이 재생되게 해야 하죠. 

 

 

하지만 때밀이는 각질층뿐만 아니라 그 아래 표피까지 없앨 정도로 강하게 하죠. 이러면 당장은 시원하고 피부가 매끈하니까 기분이 좋으실 거예요. 하지만 표피까지 없앤 피부는 외부로부터 보호하던 보호막이 사라지게 되면서 외부로부터 노출되어, 각종 세균과 유해 물질에 쉽게 노출된 상태가 되어 버리죠. 그리고 '사이토킨'이라는 염증 물질을 분비하게 되며 항균 물질을 없애버리고 유해 세균 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이로인해 염증 유발, 붉어짐, 피부염 등 피부질환이 발생하게 돼요.

 

 

이외에도 피부 수분이 증발되며 피부 탄력도 떨어지게 돼요. 결국 잠깐의 기분을 맛보다가 피부과 다니는 일이 생기게 되는 것이죠. 그러니까 때밀이는 그냥 안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피부는 자극이 없는 것이 가장 좋아요. 그렇다고 각질이 있는 게 좋은 것은 아니에요. 각질 제거는 피부 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해요.

 

 

그렇다면 각질 제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것이 스크럽인데요. 이전 글에서 때밀이와 스크럽은 다른 것이라 이야기했었죠. 스크럽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정보에 대해 알고싶으시다면

 

2022.10.21 - [미용] - 의외로 놓치기 쉬워 미용 관리 안하는 부위는? 그리고 관리하는 방법

 

의외로 놓치기 쉬워 미용 관리 안하는 부위는? 그리고 관리하는 방법

보통 미용 관리한다면 얼굴, 머리, 등같이 트러블이 일어나기 쉬운 부위를 열심히 관리하시죠. 하지만 우리 몸의 부위는 여기만 있지 않죠. 이전 글처럼 목 같은 부위는 놓치기 쉬워요. 이번 시

hura-hura.tistory.com

2022.10.06 - [음식] - 환절기 예방, 목(기관지, 폐)에 좋은 음식: 기침 / 천식 / 가래 배출 / 염증 완화

 

환절기 예방, 목(기관지, 폐)에 좋은 음식: 기침 / 천식 / 가래 배출 / 염증 완화

환절기가 되면 면역력이 떨어져서 감기와 같은 질병에 쉽게 노출이 되죠. 그리고 목이 예민하시거나 약하신 분들은 목부터 증상이 일어나게 돼요. 저 같은 경우 목이 약한 편이라서 환절기가 되

hura-hura.tistory.com

2022.07.21 - [음식] - 시서스: 체지방을 줄여주는 하늘의 선물!

 

시서스: 체지방을 줄여주는 하늘의 선물!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의 주적은 바로 "체지방"이라 할 수 있죠. 다이어트하시는 분들은 체지방을 줄이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쏟아붓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 지방을 그래서 지방을 태우기 위해

hura-hura.tistory.com

2022.08.11 - [음식] - 보리: 새싹 보리 / 당뇨병 예방 / 성인병 예방 / 다이어트 / 체지방 감소 / 체중 조절

 

보리: 새싹 보리 / 당뇨병 예방 / 성인병 예방 / 다이어트 / 체지방 감소 / 체중 조절

보리는 과거엔 보릿고개라고 해서 가난의 상징이라 볼 수 있었죠. 그 이유는 1960년대 초까지는 봄이 되면 가을에 추수한 쌀이 다 떨어져서 보리를 먹었기 때문에 그런데요. 그러나 오늘날은 쌀

hura-hura.tistory.com

 

반응형

댓글